- 영문명
- Systematic Review on Death Education Research Trends in Japan
- 발행기관
- 한국노년교육학회
- 저자명
- 이로미(Romee Lee) 이은주(Eun ju Lee)
- 간행물 정보
- 『노년교육연구』Vol. 10 No. 2, 253~2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맞아 일본 내 죽음교육에 관한 학술적 담론의 진화와 주요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의 죽음교육 관련 연구 및 실천 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 문헌분석을 연구방법으로 하여, 구글 스 칼라(Google Scholar)와 일본의 대표적 학술 데이터베이스인 샤이니(CiNii)에서 상위 랭킹 순으로 ‘death education(デスエデュケーション: n=50)’ ‘죽음교육(死の教育: n=67)’ ‘사생학(死生学: n=95),’ ‘생명교육(命の教育: n=8)’ 등으로 총 220편의 학술 논문을 선정한 후, 이들 논문의 연구 분야와 연구 내용을 범주화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의 죽음교육은 1990년대부터 윤리적 접근과 학문적 실천을 기반으로 한 학제적 연구에서 학교교육 및 지역사회의 실천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또한 주요 내용은 삶과 죽음의 철학적 관점과 인간의 전 생애주기를 반영하는 실천적 교육 프로그 램 개발이 두드러졌다. 특히 교육 프로그램들은 학교 내 생명존중 교육으로부터 지역사회 내 죽음교육까지 연계되며, 죽음에 대한 이해와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고령자의 증가와 함께 절망사(deaths of despair)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국 사회에 적용가능한 죽음교육의 방향과 과제로 생애 주기 단계별 죽음교육과 실천 방법, 그리고 노년기 교육에의 적용을 탐색하고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urrent major research trends of academic discourse on death education in Japan in the context of a super-aged society, and to draw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ath education in Korean society. Using systematic review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of 220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in order of top ranking from Google Scholar and CiNii, as two representative academic databases in Japan, under death education(English) (n=50), death education(Japanese) (n=67), death and life studies (n=95), and life education (n=8). As a result of the research, death education in Japan has been evolving since the 1990s based on ethical approaches and academic practic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as being centered on both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The main content has evolved in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actice programs reflecting the philosophy of life and death and the entire life cyc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s, tasks, and practical measures of death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researchers and workers who work with elderly citizens. Since Korea is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where a continuous increase in so-called deaths of despair accompanies, more efforts are urgently needed in this a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