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의 신체에 대한 사유의 관점으로 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전복적 서사의 가능성:김 동령 ⋅박경태 감독의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91
- 영문명
- The Potential for Subversive Narratives in Documentary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Gilles Deleuze's Thoughts on the Body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명소희(So-hee Myoung) 김형래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1호, 99~1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들뢰즈의 시네마2: 시간-이미지 내의 신체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더. 불어서 들뢰즈가 시간-이미지
로서 바라보고 있는 신체는 무엇이며, 어떠한 서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이 러 한 이론적 토대
위에 다큐멘터리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의 사례를 분석하며, 들뢰즈의 시간-이미지로서의 신체가 어떻게 다큐멘터
리 영화의 전복적 서사로 기능하는지 살펴본다.특 히 , 본 연구는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가 인물의 신체를 통해
수행하고 있는 이야기 꾸미기가 피해자/가해자라는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며, 어떤 방식으로 윤리적 서사쓰기를 도모하
는지를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이 를 통해, 어떻게 들뢰즈의 신체 개념이 다큐멘터리 장르 자체의 사유로 이어지며,
다큐멘터리의 윤리를 재고찰할 수 있는지 논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body within Deleuze's “Cinema 2: The Time-Image”. Moreover, it
seeks to investigate what the body that Deleuze views as the time-image is and what narrative possibilities it encompasses.
Based on this theoretical foundation, the study analyzes the documentary film , exploring
how the body as the time-image, according to Deleuze, functions as a subversive narrative in documentary film.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fabulation through characters' bodies in the film
deconstructs the binary structure of victim/perpetrator and promotes an ethical narrative writing. Through this, I aim
to discuss how Deleuze's concept of the body leads to a rethinking of the documentary genre itself and allows for a
re-examination of documentary ethic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헤겔연구
- 철학
- 철학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