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Developing the Unit Planner that can be Applied to Korea's National Curriculum using the IB MYP Unit Plann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대현(Daehyun Ahn) 홍후조(Hoojo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521~5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목적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지향하는 바를 반영하는 수업지도안 양식인 단원 기획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홍후조(2016)가 제시한 가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숙의 과정을 차용하였고, IB MYP의 Unit Planner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중점사항들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단원 기획안 <초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해 14명의 교육학 박사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수정안>을 개발하였다. <수정안>에 대해 1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업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단원 기획안 <최종안> 양식과 활용안을 제시하였다. 양식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성취기준, 추구하는 인간상, 핵심 역량, 교과 역량 등을 상단에 배치하여 교사가 수업을 설계할 때 이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깊이 있는 학습을 구현할 수 있도록 IB MYP 유닛 플래너의 수업과 평가 요소들을 반영한 양식을 개발하였다.
결론 단원 기획안을 활용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지향하는 점들을 교사들이 보다 충실히 교실 수업에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단원 기획안 양식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goal is to develop a unit plan, a lesson plan format that reflects the goal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theory.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bridg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presented by Hong Hoo-jo (2016) was adopted, and the researcher developed a by considering the key points of IB MYP's Unit Planner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theory. In this regard, an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4 education doctors and an was developed. An FGI was conducted with 10 experts on the to derive the .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unit planner format and usage plan that can be used for lesson desig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presented. In the form, the achievement standards, desired human image,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re placed at the top so that teachers can prioritize them when designing classes. In addition, we developed a form that reflects the teaching and evaluation elements of the IB MYP unit planner to enable in-depth learning.
Conclusions By using the unit planner, teachers will be able to more faithfully implement the points aimed a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mmary in their classroom classes, and the unit plan format will be able to be further developed through addition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