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Using YouTub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심(Sungsim LEE) 윤가영(Ga-young 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2호, 83~1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학습에 있어 유튜브 플랫폼 및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의 특징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수집한 질적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등교사의 유튜브 활용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이 학습 방법의 특징을 도출·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튜브 활용 학습의 특징으로 3개 상위범주, 9개 주제, 2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교사의 유튜브 활용 학습의 상위범주는 유튜브 활용 학습 이유, 유튜브 활용 학습 주제 그리고 유튜브 활용 학습 방법이 도출되었다. 유튜브 활용 학습 이유의 하위 주제로는 편의성, 정보성 및 최신성, 콘텐츠 다양성, 유용성이 도출되었고 각각의 하위범위가 도출되었다. 유튜브 활용 학습의 하위 주제는 수업 준비 및 운영, 수업 이외 교사 직무가 도출되었고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유튜브 활용 학습 방법은 시청 학습, 기록 학습, 모방 학습이 도출되었다. 초등교사의 유튜브 활용 학습의 전략은 선별적·부분적 선택 활용 전략과 개인화·맞춤화 전략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에 세부 하위범주가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유튜브 활용 학습 경험의 의미와 특징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으며, 이를 중심으로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습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learning through the use of the YouTube platform and content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nducted written interviews using online platform with 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Based on th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with YouTub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learning method were identified and conceptuali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3 main categories, 9 themes, and 21 subcategories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of learning using YouTube. The main categories include reasons for using YouTube for learning, learning topics, and learning methods utilizing YouTube. The sub-themes for reasons for YouTube utilization learning include convenience, informativeness and timeliness, content diversity, and usefulness. The sub-themes for learning topics include instruction preparation and operation, and other teaching-related duties. The learning methods utilizing YouTube identified were watching learning, recording learning, and imitative learning. The strategies for elementary teachers' YouTube-based learning included selective and partial usage strategies, as well as personalized and customized strategies, each with detailed subcategori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learning methods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