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의 서사 구조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Korean Film “The Roundup” Serie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서곡숙(Koksuk Seo)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1호, 35~6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23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을 연구 방법론으로 하여 한국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 즉 <범죄도시>, <범죄도시2>, <범죄도시3>, <범죄도시4>의 서사 구조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욕망의 축은 능동적 행동자인 주체와 대상의 이접-연접을 나타낸다. 욕망의 주체는 마석도 형사이고, 욕망의대상은 살인사건 해결, 범죄조직 소탕, 보스 처벌이다. 주인공은 능동적 행동자, 행동적 주체, 인지적 주체이며, 작동적 행동과 조종적 행동을 동시에 하며, 대상과의 관계는 이접에서 연접으로 바뀐다. 두 번째,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주체의 축은 조력자들의 확산과 적대자들의 분열을 나타낸다. 조력자는 세 유형, 즉 주인공의 욕망 실현을돕는 경찰조직, 소통을 용이하게 돕는 정보원, 주인공이 수단을 획득하고 대립자와 맞서는 힘을 주는 조력자 범죄조직으로 나타난다. 적대자는 세 가지 유형, 즉 정신적, 육체적 능력을 갖춘 잔인한 인물인 적대자, 경찰조직과 대립하는 적대자 범죄조직, 상하관계를 형성하는 동업자 범죄조직으로 나뉜다. 세 번째,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소통의 축은 수신자의 주체성과 반영웅에 대한 부정적 보상을 나타낸다. 발신자는 임무를 할당하는 경찰 상사와 임무를 만들어가는 주인공이며, 행동을 자극하는 피해자, 주인공-대상의 결합을 희망하는 조력자, 주체적으로 계약을 완수하는 주인공이다. 수신자인 주인공은 긍정적 조종, 재귀적 행동, 긍정적 능력으로 수행의 성취를 실현하지만보상받지 못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Korean film “The Roundup” series focusing on “The Outlaws”, “The Roundup”, “The Roundup: No Way Out”, and “The Roundup: Punishment” using Greimas’ ‘action model’ as a research methodolog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oundup” series, the axis of desire represents the disjonction-conjonction of the subjec(the active actor) and the object. The subject of desire is detective Maseokdo, and the object of desire is to solve the murder case, wipe out the criminal organization, and punish the boss. The protagonist is an active actor, behavioral subject and cognitive subject, and performs both operational and manipulative actions at the same tim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changes from disjonction to conjonction. Second, in “The Roundup” series, the axis of the subject represents the spread of helper and the division of antagonist. The helper appears as three types: a police organization that helps the protagonist realize the desire, an informant that helps to communicate easily, and a criminal organization that helps the protagonist acquire the means and gives the power to confront the antagonist. The antagonis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antagonist that is a cruel person with mental and physical abilities, an antagonist criminal organization that opposes a police organization, and a partner criminal organization that form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Third, in “The Roundup” series, the axis of communication represents the receiver’s subjectivity and negative rewards for anti-heroes. the protagonist who creates the task, The sender is a police boss who assigns a task, the victim who stimulates the action, the helper who wishes to combine the protagonist with the object, and the protagonist who independently completes the contract. The main character, who is the receiver, realizes the achievement of performance through positive manipulation, recursive action, and positive ability, but is not rewarded.

목차

1. 서론: 영화의 서사 구조와 ‘범죄도시’ 시리즈
2. 욕망의 축: 능동적-행동적 주체와 자본의 불법적 획득
3. 주체의 축: 조력자들의 확산과 적대자들의 분열
4. 소통의 축: 수신자의 주체성과 반영웅에 대한 부정적 보상
5. 결론: ‘범죄도시’ 시리즈의 서사 구조와 대중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곡숙(Koksuk Seo). (2024).한국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의 서사 구조 연구. 영화연구, (), 35-67

MLA

서곡숙(Koksuk Seo). "한국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의 서사 구조 연구." 영화연구, (2024): 35-6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