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an Analytical Framework for User Experience Elements in Exhibition Design Utilizing Interactive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 저자명
- LIN LIU Je Yo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4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81~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6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기술을 활용한 전시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 요소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대 전시 디자인에서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 몰입형 경험과 감성적 공감을 제공하며, 관람객의 지식 습득과 가치 인식을 돕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기능적 경험, 감각적 경험, 인지적 경험의 세가지 주요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이 전시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분석하였다. 기능적 경험은 사용 편의성, 접근성, 정보의 정확성 및 상호작용성을 포함하며, 관람객이 전시물과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감각적 경험은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 자극을 통해 관람객의 몰입감을 높이고,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전시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전시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user experience elements in exhibition design utilizing interactive technology. In contemporary exhibition design,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go beyond simple information delivery to provide immersive experiences and emotional resonance, supporting visitors’ knowledge acquisition and sense of value. Accordingly, this study categorizes user experience into three primary dimensions—functional, sensory, and cognitive experience—and examines how each dimension is applied within exhibition design. Functional experience includes usability, accessibility, informational accuracy, and interactivity, facilitating seamless interactions between visitors and exhibits. Sensory experience enhances visitor immersion and emotional connection through various sensory stimuli, such as visual, auditory, and tactile elem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optimizing user experience in exhibition design and proposes directions for advancing exhibition design practic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전시 디자인 사용자 경험 요소 분석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