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erience Study in Job-based Software Education Service and Exploration of Development Plans : Centering on Learning experience platform(LXP) and Learning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 저자명
- Jinah Park Namhoon Park Ji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4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29~3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6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W 교육 서비스 과정에서 학습자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학습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SW 직무 교육 수강생을 대상으로 학습 참여 동기, 교육 중 겪은 어려움, 그리고 감정적 요인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온라인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공동 창작(Co-Creation)을 통해 학습자 경험을 여정맵(Journey Map)으로 시각화하고,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지원 시스템의 미비, 학습 동기 유지의 부족 등이 주요 문제로 나타났다. 개선 방안으로 개인화된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공하는 학습 경험 플랫폼(LXP)과 학습 일지(Learning Journal)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SW 직무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eply analyze learner experiences in SW job training programs and propose personalized learning solutions. A total of 8 SW job training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s, challenges during the course, and emotional factors. The resear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to gather detailed data and used a co-creation approach to visualize learner experiences through a journey map. The analysis identified key issues such as the lack of practical curriculum, insufficient learning support systems, and difficulty in maintaining learner motivation. As solutions, the study proposes implementing project-based learning (PBL), personalized learning paths through a Learning Experience Platform (LXP), and the use of learning journals to enhance motivation and reflec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W job training program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및 대상
4. 학습자 경험 분석 결과
5. 개선 방안 탐색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