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L 지수를 이용한 RCEP 역내의 산업 내 무역패턴 분석: 한국의 산업별 무역 추이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Patterns of the Intra-Industry Trade of RCEP Using GL Index: A Focus on the Trade Dynamics of Industry
발행기관
한국무역연구원
저자명
장지영(Ji-Young Jang)
간행물 정보
『무역연구』제20권 제5호, 177~19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Purpose - This research examined the dynamic changes of trade structures and the asymmetric effect of RCEP on different industr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GL Index on four industries was constructed and calculated from 2012 to 2021 based on the BEC (Broad Economic Categories) category. Findings - First, the trade creation effect shows heterogeneous effects by industry. China is expected to become more competitive in the capital goods market. The GL index of capital goods with Japan is lower than that of China, implying more imports from Japan. Therefore, it is not clear whether RCEP with China and Japan bring a positive impact to Korea. Second, the loss in the agricultural sector due to additional market opening seems unavoidable because the GL index of the agricultural market is almost 0 for Australia and New Zealand. Third, the consumer goods GL index shows increasing trends in the ASEAN market, implying sector diversification of Korean exports. Research Implications - First, the incoming effect of RCEP on each industry is asymmetric. It is clear that the agriculture industry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rural areas. It seems necessary to support policies to foster ex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to offset the damage. Second, the employment induction coefficient of exporting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is expected to remain low even though they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country's exports in RCEP. As a solution for youth employment and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policy for export support for SME consumer products should be implement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영(Ji-Young Jang). (2024).GL 지수를 이용한 RCEP 역내의 산업 내 무역패턴 분석: 한국의 산업별 무역 추이 분석을 중심으로. 무역연구, 20 (5), 177-190

MLA

장지영(Ji-Young Jang). "GL 지수를 이용한 RCEP 역내의 산업 내 무역패턴 분석: 한국의 산업별 무역 추이 분석을 중심으로." 무역연구, 20.5(2024): 177-19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