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ice Differentials and Transmission of Pricing Information in Norwa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경원(Kyung-Won Kim) 김용현(Yong-Hyeon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2권 제2호, 27~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국문 요약: 각국 주식시장에는 자국기업의 경영권 보호를 위하여 내국인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를 분할하는 제도가 존재한다. 예컨대 브라질 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의결권 주식을 5% 이상 보유할 수 없고, 멕시코 시장에서는 49%까지만 보유할 수 있다. 태국시장에서는 내국인들은 내국인 증권보드(Main Board), 외국인들은 외국인 증권보드(Alien Board)에만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중국시장에서는 내국인 투자자들은 A주에 투자, 외국인 투자자들은 B주에 투자할 수 있으며, 홍콩에 거주하는 내외국인 투자자들은 H주에 투자할 수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내국인 투자자들은 A주, 외국인 투자자들은 B주에 투자할 수 있다.
노르웨이의 오슬로 증권시장에 상장된 내국인 주식(A주)은 의결권(voting rights)이 있고 외국인 주식(B주)은 의결권이 없다. 1990년 이전에는 오슬로 증시에서 A주와 B주가 활발히 거래되고 있었지만, 그 이후 B주는 A주에 거의 통합되고, 2012년에는 네 개 회사의 주식만 A주와 B주로 나누어 거래되고 있다. 이 네 개 회사 중 세 개의 기업만 최근 분석기간인 2012년까지의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세 개는 각각 HAFSLUND (HNA), ODFJELL (ODF), ILHS.WHLHELMSEN HDG (WWI) 기업인데, 이들의 A주식과 B주식 간에는 가격차이(price differential)가 존재하였다. 특히 표본기간(1992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 중 HNA기업의 A주와 B주간 가격차이의 변동이 심한 반면, ODF기업과 WWI기업의 그것은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가격차이 변동이 심한 HNA 기업을 대상으로, 가격차이가 심한 기간인 1999년 10월 1일~2002년 4월 1일 기간과 상대적으로 가격차이가 낮은 기간인 2010년 7월 1일~2012년 7월 31일까지의 두 기간으로 나누어 가격전달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1992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에 걸쳐 이 세 개의 회사가 발행한 A주 가격과 B주 가격의 가격정보전달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오슬로 증시를 대상으로 가격정보전달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며, 실증분석모형으로 GJR-GARCH(1,1)-M모형과 그랜저 인과모형이라는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방법론으로 GJR-GARCH(1,1)-M모형을 사용하여, 주식가격 이전효과를 수익률 이전효과(price spillover effect)와 변동성 이전효과(volatility spillover effect)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두 번째 방법론으로 그랜저 인과모형(Granger causality model)을 사용하여, A주식에서 B주식으로 그리고 B주식에서 A주식으로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첫 번째 방법론인 GJR-GARCH(1,1)-M모형에 대한 실증결과로, A주식과 B주식간의 수익률의 정보 이전효과는 모든 경우 통계적으로 모두 강하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성 이전효과를 나타내는 계수와 레버리지 효과의 존재여부를 보여주는 계수를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B 주식에서 A 주식 기업간 정보이전효과가 A 주식에서 B 주식 기업간 정보이전효과 보다 컸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주식과 B 주식 가격 차이가 심한 기간이 상대적으로 가격차이가 낮은 기간에 비해 정보이전효과 보다가 더 컸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방법론인 그랜저 인과모형 분석결과는 전체 표본기간에서 A 주식과 B 주식 상호인과관계가 존재하였으며, 하위 표본기간에서는 가격차이가 심한 기간에서만 B 주식에서 A 주식방향으로 그랜저 인과관계만 성립하였다. 따라서 GJR-GARCH(1,1)-M모형의 실증결과와 그랜저 인과모형의 결과는 매우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A 주식과 B 주식의 가격차이가 가격이전정보에 영향을 미치는데, 의결권 없는 B 주식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주식이므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먼저 몰리고, 이는 가격이 높고 의결권 있는 A 주식으로 영향을 더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노르웨이 주식시장 특성상 어떡할 수 없지만 표본기업의 숫자가 적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별자료(daily data)를 사용하고 있으나 좀 더 자세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일중자료(intraday data)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many countries, stock markets are segmented to allow firms to issue shares that attract foreign funds while minimizing risk of market destabilization and loss of ownership control to foreign investors. Under these condition, two classes of shares are normally issued: restricted shares that can be traded by foreign investors, and unrestricted shares that can be traded by local investors. For example, foreign investors cannot hold voting stocks beyond 5% in Brazil and foreign investors can invested in ‘Alien Board’ and local investors can invested in ‘Main Board’ in Thailand. Local investors can hold A shares, foreign investors are allowed to invest in B shares in mainland China, and investors in Hong Kong can invest H shares.
There are two equity classes of A share and B share in Norwegian market. The shares have identical cash flows, with equal claims to dividends. However, A share is fully voting, the B share has no voting rights. Although it is not a formal regulation, the Oslo Stock Exchange encouraged listed companies to simplify their share structure. Many firms have therefore merged their A and B share classes. Most of the non-voting B shares disappeared in 2001 or 2001, and only four listed firms with B shares left in 2005. Among these four companies, data up to 2012 years are available for three companies of HAFSLUND (HNA), ODFJELL (ODF), and ILHS.WILHELMSEN HDG (WWI). The price differential between A and B shares are more intense for HNA than for ODF and WWI during the sample period of January 1 of 1992 through July 31 of 2012. This paper divides the whole sample period into two sub-periods, the period of high price differential (October 1 of 1999~April 1 of 2002) and that of low price differential (July 1 of 2010~July 31 of 2012) with respect to HNA differential pattern.
This paper is the first to directly examine the price information transmission effect with respect to the Oslo Stock Market (OSE) in Norway. We employ the two models of GJR-GARCH(1,1)-M model and Granger causality model. The first model allows us to examine both pricing transmission spillover effect and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between A share and B share prices. The second model allows us to investigate the causal effects between A and B share prices.
The results of GJR-GARCH(1,1)-M model show that returns transmission effects are significant all the cases, and volatility transmission effects are more intense from the B share to A share than from A share to the B share. The results of the first model also report that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are more intense in the high price differential period compared with in the low price differential period. The results of Granger causality model show that the A share cause the B share and vice versa for the whole sample period. But the second show that the B shares cause the A shares only for the sub-sample period of high price differential. The results of the two models are basically same. In sum, the price differential between A and B shares impacts the price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information of relatively cheap non-voting B shares cause relatively expensive voting A shares. The number of sample firms of this study is inevitably small and this study uses daily data. In the future, intraday data is more desirable for this kind of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기존연구
Ⅲ. 연구자료와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