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rior Trial-based and Achievement-based Cultural Experience on Cultural Experience Intention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최별초롱(Byul Cho Rong Choi) 신형덕(Hyung-Deok Shi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3권 제3호, 217~2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향유경험을 획득된 문화자본으로 전제하고 문화향유경험이 문화향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화향유경험을 체험형과 성취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험유형이 체험형 및 성취형 문화향유의향을 차별적으로 형성하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Bourdieu (1986)는 문화자본에 대해 특정 계층이 부모로부터 상속받는 것으로서 체화된 문화자본, 객관화된 문화자본, 그리고 제도화된 문화자본으로 분류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문화자본이 상속되는 것은 사회의 변화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고급 문화와 대중 문화 등으로 문화 장르의 구분이 확실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반면에 현대에 이르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분야의 문화 장르가 쉽게 탄생하고 장르간 융합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속화되어 전통적인 상속 문화자본의 개념이 적용되기 힘들 수 있다. 그 대신 문화향유의 경험을 통해 문화자본이 형성되고 이것이 문화향유 의지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화향유경험과 문화향유의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문화자본의 발생과 성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격년으로 발표하는 문화향유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전국 15세 이상 5,000명 중 유효한 4,735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에서 구분한 문화향유의 형태 중 본 연구의 성격에 따라 문화예술행사, 역사문화유적지, 지역축제의 문화향유형태를 체험형 문화향유경험으로, 문화예술교육, 문화관련동호회, 문화예술창작을 성취형 문화향유경험으로 재분류하여 이러한 경험이 각 유형의 문화향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체험형 문화향유경험은 체험형과 성취형 문화향유의향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성취형 문화향유경험은 성취형 문화향유의향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문화활동을 체험하게 하고 그 의미와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 특정 분야의 문화분야에 집중하도록 하는 것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일반 대중을 위한 문화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rior cultural experience, as cultural capital, on cultural experience intention. More specifically, we divided cultural experience into trial-based and achievement-based ones, and tested if each type of experience has differential impacts on different types of intention. Bourdieu(1986) classified cultural capital into embodied, objectified, and institutionalized cultural capital which are mostly inherited from parents in specific social classes. This classification, however, can be properly applied when cultural genre, such as noble or popular culture, is clearly distinguished and social change is not occurring very fast. On the other hand, due to very fast technological advances and convergence of cultural areas,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concept may not be proper nowadays. Instead, it would be possible that personal cultural experiences become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in turn leads to cultural experience intention which further expands to accumulate more cultural capit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cultural experiences and cultural experience intention to confirm the logic above. More specifically, we used the survey data from 4,735 respondents at The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published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As a result, we found that while prior trial-based cultural experience has positive impacts on both trial-based and achievement-based cultural experience intention, achievement-based cultural experience has a positively impact on achievement-based cultural experience intention only. This result implies that cultural education policy need to focus on diverse and general cultural experiences for young students rather than specialized expertise and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 설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