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Alternatives of The Middle School Autonomous hours in Linked to School Festivals Operation Plan: Focusing on Core-Projec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용(Yong Cho) 홍후조(Hoo-Jo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851~8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자율시간 16+1 체제에서 ‘학교 축제 기획하기’ 과목을 통해 각 교과의 핵심 프로젝트를 연계한 학교 축제 운영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학교자율시간의 편성과 운영, 중등학교 축제 운영 사례, 국내외 핵심 프로젝트 운영 사례에 대한 문헌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자율시간에서의 학교 축제와 핵심 프로젝트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학교 축제와 연계한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 축제를 연계한 학교자율시간의 학급 시간표는 한 주 전체를 축제로 운영하거나, 한 주의 일부만 축제로 운영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둘째, ‘학교 축제 기획하기’라는 교양 선택 교과로 학교자율시간에 새로운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셋째, 학교 축제와 연계한 학교자율시간의 핵심 프로젝트는 교과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결론 첫째, 융합적 교육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협동성과 창의력이 강화된다. 셋째, 지역 사회와의 연계가 강화된다. 넷째, 다양한 학습 주제와 활동이 통합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a plan to operate a school festival that links core-projects of each subject in the 16+1 autonomous school hours system in middle school through the subject of ‘Planning a School Festival’.
Methods We analyz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autonomous hours, cases of operating middle and high school festivals, and cases of opera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re-projects.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festivals and core-projects in school autonomous hours, and discussed ways to operate school autonomous hours linked to school festivals.
Results Firstly, the class schedule of school autonomous time linked to school festivals can be operated as a festival for the entire week or only part of the week. Secondly, a new subject called ‘Planning a School Festival’ can be opened in school autonomous time. Thirdly, the core project of school autonomous time linked to school festivals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by subject.
Conclusions Firstly, it provides a convergent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ly, cooperation and creativity are strengthened. Thirdly, connections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strengthened. Fourthly, various learning topics and activities are integrated.
목차
Ⅰ. 서론
Ⅱ. 학교자율시간과 핵심프로젝트에 대한 이해
Ⅲ. 학교 축제와 연계한 학교자율시간의 운영 방안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