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demonstration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Changes following mentoring-centered teaching demonstrat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지(Yoonji Choi) 이희선(Heeseo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795~8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영유아교사가 멘토링 중심 수업시연대회를 경험하면서 변화하는 수업시연의 내용을 언어네트워크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수업시연대회 참가자 34명을 대상으로 1차 선발대회 전사자료 264장과 멘토링이 이루어진 이후 2차 본선대회 전사자료 362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KrKwic과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 네트워크 구조분석, 중심성 분석, CONCOR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1차 선발대회에서는 ‘우리’ 다음으로 ‘친구들’이 많이 언급되었고 2차 본선대회에서는 ‘우리’ 다음으로 ‘선생님’ 순이었다. 둘째, 2차 본선대회의 발화가 1차 선발대회보다 키워드 간의 관계가 조밀하였다.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권이 1차 선발대회에서는 ‘친구들’이 3위 이내에 위치하였으며, 2차 본선대회에서는 ‘선생님’이 2위 이내에 위치하였다. 셋째, CONCOR 분석에 의하면 1차 선발대회는 2개의 주요 클러스터인 교사중심 상호작용, 활동의 내용에 대한 설명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2차 본선대회에서는 2개의 주요 클러스터인 유아 중심의 대화, 유아가 활동에 참가하기 위한 방법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영유아교사의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대학과 영유아교육 현장의 연계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changing lesson demonstrations 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xperienced mentoring-centered lesson demonstrations.
Methods For this reason, after 264 chapters of the 1st Selection Tournament Warrior Materials and mentoring were conducted for 34 participants in the Class Trial Competition, 362 chapters of the 2nd Final Selection Tournament Warrior materials were analyzed. Data were compared by keyword frequency analysis, network structure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using KrKwic and UCINET 6 programs.
Results First of all, In the first round of competitions, Guys was mentioned most often after We, and in the second round of competitions, Teacher was mentioned after We.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in the utterances in the second round competition were more concentrated than those in the first round competition. In terms of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Guys was ranked in the top 3 in the first selection competition, and Teacher was ranked in the top 2 in the second selection competition. Third, according to the CONCOR analysis, two main clusters appeared in the first round of competitions is teacher-centered interaction and explanation about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wo main clusters appeared in the second round of competitions is child-centered interaction and a method cluster was formed for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in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