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adult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job-major mat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영아(Young ah Hwang) 정소미(So-Mi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639~6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직무-전공 일치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H 대학 내 성인학습자 단과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하여 1학년 시기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해 개설⋅운영되는 교양 교과에서 수집한 학습전략 척도와 학업성취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인지전략, 학습동기, 학업불안, 시간관리, 자원활용 등 학습전략을 구성하는 5개 요인은 모두 학업성취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전략의 5개 구성요인 중 인지전략, 학습동기, 시간관리 요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전공 일치에 따른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검증되었으며, 학업불안, 자원활용의 경우 직무-전공 일치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성인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직무와 전공의 일치 여부가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 지원에 직무와 전공 일치 여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adult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major match in the relationship.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145 first-year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Adult Learners at H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based on learning strategy scales and academic achievement gathered from liberal arts courses that were offered and operated to support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ve factors that constitute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cognitive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nxiety, time management, and resource utilization,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major congruence was statistically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ase of academic anxiety and resource utiliz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major congru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ult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rmed how the job-major match moderates the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ation of current job and major is necessary for learning support for university adult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