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라지숙(Jisuk La) 서하정(Hajung Seo) 안철구(Cheolgoo Ahn) 박희숙(Heesook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293~30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이해 및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전문성 관련 요인들을 분류하여 각 특성의 하위요인들 간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영아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요인들 간의 효과크기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를 위해 2003년 3월부터 2024년 4월간에 발표된 국내 석⋅박사학위 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영아교사’, ‘전문성’ 등을 Key word로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54개 요인의 효과크기를 CMA 메타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요인 중 조직특성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개인특성, 직무특성-보호, 직무특성-위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특성 하위요인은 행복감, 인성, 자아탄력성, 민감성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은 조직헌신도, 근무환경, 조직건강성, 교수신념, 동료관계, 조직효과성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의 보호요인으로는 전문성 발달수준, 상호작용, 보육헌신,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대처 전략, 영아발달지식, 교직윤리의식, 역할수행, 놀이교수효능감, 보육환경, 교직동기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직무특성의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는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결론 국내에서 연구된 영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요인 중 조직특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영아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후속 연구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the related factors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each characteristic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For the purpose of a meta-analysis study to analyze the degree of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March 2003 to April 2024 u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fessionalism’ as keywords. The effect sizes of the final 54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CMA meta-analysis program.
Results First,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protection, and job characteristics-risk. Second, the sub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happiness, personality, ego-resilience, and sensitivity in that ord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high effect sizes in the orde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environment, organizational health, teaching beliefs, peer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for the protective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action, childcare commitment,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coping strategies,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teaching ethics, role performance, play teaching efficacy, childcare environment, and teaching motivation showed high effect sizes in that order. Job stress, a risk factor of job characteristics, showed a medium effect size.
Conclusions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ied in Korea were found to have an overall effect on professionalism, and among them,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greatest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llow-up research and directions for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