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pastor's wife'sself-discrepancy and Entrapment on depression :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이명선(Myungsun Lee) 이자영(Ja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5호, 985~10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아내의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목회자 아내의 우울을 위한 치료적 개입 방법을 찾고자 하는 데 있다. 목회자의 아내 302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척도, 속박감 척도, 우울 척도, 영적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 속박감, 우울은 각각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영적안녕감은 자기불일치, 속박감,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속박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의 관계에서 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영적안녕감에 의한 속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가 영적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for the depression of the pastor's wife by verifying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effect of self-disagreement and bondage on depression of the pastor's wife. 302 wives of pastors were surveyed using the self-disagreement scale, the bondage scale, the depression scale, and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agreement, bondage,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nd spiritual well-being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disagreement, bondage, and depress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agreement and depress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bondage was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agreement and bondag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agreement and depression,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bondage by spiritual well-being was confirme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bondage depends on the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effect of self-disagreement on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