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mong Nepali Under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윤영집(YoungJib Yoon) 공하림(Harim K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5호, 527~56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네팔 학부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영향을 규명하고,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네팔 학부생 2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측정모델과 구조모델로 구분하여 각각 모델의 적합 여부와 경로계수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네팔 학부생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졌고,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습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졌으며, 학습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매개요인임이 확인되었지만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네팔 학부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다각도의 지원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mong Nepali undergraduate student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o achieve this,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with 230 Nepali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Nepali undergraduate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lf-efficacy. However,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found to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In contrast, higher self-efficacy was linked to greater learning engagement, and greater learning engagement was in turn associated with bette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