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arner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with free writing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김미선(Miseon Kim)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2호, 325~3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방식의 대학 수업에서 수업 전단계와 수업 중 단계를 연결하는 장치로 자유 글쓰기(free writing)를 실시하고, 자유 글쓰기가 적용된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의 학습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매주 학생들이 동영상 수업 관련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하는 자유 글쓰기를 한 뒤, 학기 말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107명(79.3%)의 학생들이 자유 글쓰기 훈련으로 개선된점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개선된 부분으로 표현력(14.3%), 복습(13.3%), 도입부 작성(13.3%) 등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자유 글쓰기가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ree writing as a device to bridge the preclass and in-class phases of a flipped learning university classes, and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to which free writing is applied.
In this study, free writing was conducted every week to allow students to freely write video class-related contents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f flipped learning.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107 students (79.3%) believed that the free writing exercises led to improvements. Among the improvements, expression (14.3%), review (13.3%), and writing introductions (13.3%) were most frequently cited. It appears that free writing played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student engagement in flipped learning clas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