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Group Counseling i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이(Euni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995~10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의 집단상담 분야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 4월까지 출판된 대학 집단상담에 대한 국내 학술지 논문 총 150편을 수집하였다. 기초사항,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유형, 집단상담유형의 분류범주별로 설정한 분석기준에 따라 평정하고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로 분석한 결과 상담이론, 진로발달, 자아발달, 대인관계, 감정정서, 주관적 안녕, 학업발달로 분류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부분 일반대학생이었으며, 이외에 사범계열, 간호계열 등 특정 전공계열 대학생과 장애, 심리 및 학습 문제를 겪는 대학생들이었다. 셋째,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로 분류되었다. 양적연구에는 차이검정, 분산분석, 비모수검정 등의 방법이 많았고 질적연구에는 내용분석, 현상학연구, 근거이론, FGI 등의 방법이 많았다. 넷째, 연구유형은 상담효과연구, 과정연구, 개발연구, 메타연구, 동향조사연구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상담효과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집단상담유형을 분석한 결과 상담형식에서는 대면상담이, 상담구조에서는 구조화상담이, 집단리더에서는 상담자 중심 상담이 많았다.
결론 대학에서의 집단상담 연구의 다양한 관점과 방법이 중요함을 논의하였고,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대학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group counseling in univers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150 domestic journal papers on university group counseling published from 2000 to April 2024 were analyzed for basic element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ypes, and types of group counseling.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as a research topic, it was classified into counseling theory, career development, self-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s, subjective well-being and learning development. Second, most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general college students, and in addition, there were college students in specific majors such as education and nursing. And college students who had disability problems, psychology, and learning problems were the subject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method, it was classified into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included methods such as difference test, variance analysis, and nonparametric test, and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content analysis, phenomenological research, grounded theory, and FGI. Fourth, research types were classified into counseling effect research, process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meta research, and research trend survey. Among them, counseling effect resear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face-to-face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in the form of counseling, structured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in the counseling structure, and counselor-centered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in group leaders.
Conclusions It wa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applying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 when studying group counseling research in universities.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universit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