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tes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the areas of geometry and measur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민(Yunm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777~79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를 검사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검사 도구 문항을 개발하고 경남 소재 초등 예비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를 분석하였다.
결과 검사도구는 수학 교육과정, 수학 교과 내용, 수학 교수학습 내용, 수학 교수학습 방법 4개 요인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신뢰도는 .917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 및 문항에 있어 내적 일관성이 있었다. 수학 교육과정 지식의 평균이 2.75, 수학 교수학습 방법 지식의 평균이 4.44였으며, 2학년과 4학년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초등 예비교사가 지닌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 설계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nalyze items that could tes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e areas of geometry and measurement.
Methods We developed a test instrument to asses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e area of geometry and measurement and conducted a test on 219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Through this, we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instrumen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area of g eometry and measurement.
Results The test instrument consisted of 27 items in four factors: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est instrument was .917, and each factor and item had internal consistency. The average of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was 2.75, the average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knowledge was 4.44,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didactic content knowledge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grades.
Conclusions This study diagnoses the didactic content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the areas of geometry and measurement,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irec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