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olving Concept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in Pre-service Teachers: A Case Study at C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윤진(Yunjin Lim) 김보영(Bo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611~6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기술교사가 기술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개념 형성 및 변화 양상을 통해 예비기술교사의 기술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C대학교 기술교육과의 교과 교육과정 필수 이수과목인 ‘기술교과교육과정’을 수강하는 2022년 48명, 2023년 46명 예비기술교사 총 94명을 대상으로 강좌 학습 전과 후의 기술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개념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개념은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빈도수, 중심성, 응집그룹, 구조적공백분석, 에고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인 예비기술교사는 강좌를 수강하기 전 ‘교육목표’달성을 교육과정의 주요 개념으로 주요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강좌 수강 전 형성된 사전 개념은 강좌 수강 이후 교육과정 관련 내용의 적용이 가능해졌으며, 교과중심으로 개념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강좌 수강 이후 기술 교과 교사로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측면으로 개념이 확장 및 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의 구체화, 산발적 개념 구조에서 응집력 있는 개념 구조로 변화, 주요 교육과정의 변인과 교육과정 개념 간의 영향 관계 등을 기초로 향후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formation and change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Methods A total of 94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aking the ‘Technology Curriculum’ course were surveyed to collect their conceptions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number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studied was 48 in 2022 and 46 in 2023. The collected concept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centrality, clustering groups, structural hole, and ego network analysi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s Before taking the cours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e concept of achieving ‘educational goals’ as the main concept.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apply curriculum-related contents after the class, and changes in concepts occurred in curriculum-related specialized content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apply cur-riculum-related contents after the class, and changes in concepts occurred in curriculum-related specialized content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concepts were expanded and differentiated in terms of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ical subjects teachers after the clas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curriculum was materialized, and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through changes to a cohesive conceptual structure and influence relationships with major curriculum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