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Toxicity of Gases Emitted during Fires from Flame-Retardant Material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최유열 전규남 최아영 김태우 하영권 송창훈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2~22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2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국내 화재사고로 발생되는 재산 및 인명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사망자의 상당한 비율은 연기 및
유독가스 흡입에 의한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맞춰 소방에서는 다양한 예방 정책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 중 실내 방염대상물품의 확대 적용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방염대상물품의 적용 범위(기준)을 확대될 경우, 화재의 지연을 통해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선결적으로 방염대상물품의 화재 시 발생하는 가스의
인체 유해성이 확인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방염대상물품의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염도료 및 방염필름 각 5종의 샘플에 대하여 유해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방염대상물품
의 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규정 또는 시험방법이 없음에 따라,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KS F 2271(가스유해성
시험) 및 NES 713(독성지수 시험)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방염도료 및 방염필름의 연소 시 발생가스의 종류
(성분) 및 독성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도료 및 필름의 두께 증가 시의 유해성 증가수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방염기술의 확대 적용 가능성 및 개선점 등을 종합적으로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