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 Inference Method for Reducing Unwanted Alarms of Smoke Detector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정수빈 손종원 최돈묵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4~14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2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NFTC 203 개정을 통해 연기감지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적응성이 떨어지는 장소에서 비화재보가
발생함에 따라 감지기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고 있다. 이에 비화재보 저감을 목적으로 UL 268/217 Go/No
Go test를 기반으로 화재 및 비화재 상황에서의 환경을 분석하여 다중 센서 추론기법을 통해 화재 확률로
나타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UL 268/217 연기감지기 시험 기준에 따른 Go/No Go test를 진행하였으며 기준에 제시된 연기감지기
외 추가로 연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광원 센서 및 비화재보 방지에 적용할 수 있는 연소생성물의 응답
특성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실내공기질 센서를 부착하여 온도, 습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세먼지를
측정하였다. 연소생성물의 측정 결과를 검토한 결과 Cooking Nuisance Test 중에는 미세먼지와 습도가 일시적으
로 증가하였으나 이는 기준의 특성상 냉동된 햄버거 패티의 특성으로 판단되며 Polyurethane Foam Test 시작과
동시에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및 비화재 상황에서 모든
인자가 연기와 유사한 경향성을 띠지만 최종적으로 화재 판별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로 판단된다.
선정된 인자들을 통해 범위를 설정하여 그 정도를 표기하고, 인자들의 경향성 분석을 토대로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연기감지기의 화재 및 비화재보를 정량적으로 수치화 화재 확률을 나타냈다. 제안된 화재 확률 알고리
즘을 연기감지기와 연동하여 활용하면 화재 및 비화재보 판별에 있어 개선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감지기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선정한 두 가지 인자를 기준에 제시된 실험을 통해 설계한 것으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