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vels of Effectiveness of Water Curtain Equipment Applied When Mitigating Fire Compartment Installation of Logistics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서희원(Heewon Seo) 손종원(Jongwon Shon) 김대회(Daehoi Kim) 홍성호(Sungho Hong) 이상범(Sangbum Lee) 임성빈(Seongbin Li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 5호, 157~16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물류시설의 방화구획 완화 시 적용되는 수막설비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물모형 실험 및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 수막설비의 복사열 차단효과는 드렌처헤드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일정 부분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막설비의 드렌처헤드 설치 간격을 좁게 할 경우 복사열량 및 복사온도가 현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막설비의 화재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드렌처헤드 사양을 규정하고, 개구부의 크기 제한 및 드렌처헤드의 설치 간격을 좁게 설정하도록 하는 등 물류시설 수막설비 관련 기준을 개선한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Mock-up tests and fire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water curtain equipment in mitigating fire compartment installation of logistics facilities. The radiant-heat-blocking effect of the water curtain equipment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type of drencher head, and a blocking effect was observed. Additionally, the radiant temperature and heat flux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drencher heads of the water curtain equipment were reduced. Therefore, improving the standards related to the water curtain equipment of logistics facilities, e.g., providing drencher head specifications, restricting the sizes of the openings, and narrowing the 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drencher heads, is necessary to ensure the fire safety of water curtain equipment.
목차
1. 서 론
2. 수막설비 관련 기준
3. 수막설비 실물모형(Mock-up) 실험
4. 수막설비 화재시뮬레이션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