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표윤희(Yun Hui Pyo) 김정연(Jeong Youn K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4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집필, 기획, 운영, 실행의 주체인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집필진, 교육과정 부장 등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살펴보고,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원 요구를 모색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는 11명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을 기획한 교육과정 부장과 1학년 담임교사 등이참여했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문헌조사 결과를 토대로 면담지를 개발하였고, 소집단 면담 방식으로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 운영 경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원 요구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면담 결과, 4개의 대주제와 2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일상생활 활동에 관한 긍정적 기대감, 2) 발견된 문제들, 3) 우리의 과제, 4)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요구.
결론: 본 연구는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첫 해에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지원 요구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daily living activities,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explore the support needs.
Method: In this study, 11 people, including the head of curriculum who pla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of daily living activities and is teaching the first grade students, particip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hat analyzed previous studies, the interview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and the qualitative data on experiences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the daily living activities,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curriculum of the daily living activities, and support needs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the daily liv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through small group interviews.
Results: In general, four themes, and 21 subthemes were derived: 1) positive expectations about daily living activities, 2) identified issues, 3) our tasks, 4) support needs for on site settle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nvestigated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educators regarding the curriculum of the daily living activities during the first year of its implementation, identified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ing curriculum of the daily living activities, and identified support nee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