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nagement of Corporate Performance by Chinese Heavy Equipment Manufacturers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권승하(Seung-Ha Kwon) 왕명립(Mingli Wang)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39卷 第3號, 211~2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최근 산업 활동은 기후 변화,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친환경 공급망 관리(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Green SCM)는 기업의 성과를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중장비 제조업은 중국의 핵심 산업으로, '제조 대국'에서 '글로벌 제조 강국'으로의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친환경공급망관리의 주요 요인으로 내부 환경 관리, 친환경 디자인 및 생산자 책임 회수라는 세 가지 핵심요인을 도출하여 기업의 친환경 성과와 운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녹색 발전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중국 중장비 산업 협회(中国重型机械工业协会: China Heavy Machinery Industry Association, CHMIA)”를 통해 기업 리스트를 확보하였고, 293부의 유효 설문지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중국의 중장비 제조 기업의 내부환경관리는 환경 성과,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의 중장비 제조 기업의 친환경 디자인은 환경 성과, 운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중장비 제조 기업의 생산자 책임 회수는 환경 성과, 운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Green SCM) on corporate performance in China's heavy machinery manufactur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to collect data from key Chinese companies in heavy machinery manufacturing.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 pilot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4.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internal environmental management, eco-design, and investment recovery inf luenced both environmental and operational performance positively. Eco-design had the greatest impa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while internal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investment recover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operational performance.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was 72.871%, indicating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Green SCM enables companies in the heavy machinery industry to fulfill their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while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eco-design and internal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