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Program Quality in Kindergarte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구자연(Ja Yeun Koo) 장유진(Yu Jin J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971~9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의 방과후 과정 운영 질 제고를 위하여 방과후 과정 운영 유치원을 방문하고, 각 유치원의 운영 사례를 확인하였다.
방법 시도교육청 담당자의 협조를 통해 방과후 과정 운영 사례 유치원을 추천받았으며, 전국 8개의 유치원을 방문하였다. 각 유치원의 운영 사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원장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유치원 맥락 속에서 방과후 과정 운영이 어떠한 절차, 과정,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유치원의 방과후 과정은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본질에 충실한 놀이중심 방과후 과정, 방과후 전담교사 배치, 마을연계 방과후 과정, 유아를 위한 돌봄 시스템의 구축 등의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유아를 위한 돌봄 시스템은 농산촌 유치원에 구축된 경우가 많았으며 온종일 돌봄, 토요돌봄, 농번기 집중 돌봄, 지역아동센터 연계 돌봄 등의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방과후 과정 운영 질 제고를 위하여 방과후 과정에 대한 원장 및 교육과정 교사들의 인식 변화, 방과후 교사에 대한 인정과 연수 지원,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in kindergartens by visiting kindergartens with exemplary after-school operations and examining their management practices.
Methods Through the cooperation of officials from regional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s with notable after-school program operations were recommended, and eight kindergartens across the country were visite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al cases of each kindergarten were collec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incipals and teachers. The study examined how after-school programs are conducted through various procedures, processes, and interactions within different kindergarten context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quality after-school programs in kindergartens were managed through various methods, including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dherence to play-centered after-school programs true to their essence, the appointment of dedicated after-school teachers, community-linked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care systems for children. Care systems for children were often established in rural kindergartens and operated in forms such as all-day care, Saturday care, intensive care during farming seasons, and care linked to local children's center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change in perception about after-school programs among principals and curriculum teachers, recognition and training support for after-school teachers and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