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Korea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선미(Seon-mi Kang) 박정환(Jung-hwan Park) 현용찬(Yong-chan Hyun) 조상호(Sang-ho Jo) 조수현(Soo Hyun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947~9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국내 기본심리욕구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주요 연구 주제와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게재된 KCI 등재후보지 이상의 기본심리욕구 관련 학술논문 327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R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전처리 하였고, 키워드 빈도 분석한 결과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 하였고, 토픽 모델링으로 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 현황에서는 327편의 학술지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한국청소년학회 등 106개의 학회에 게재 되었다. 둘째,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는 기본심리, 욕구, 연구, 관계, 영향, 매개, 분석, 자율성, 효과, 만족, 유능 등의 용어가 상위 단어로 나타났다. 셋째, 토픽 모델링 결과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방법, 초등학생과의 관계 및 심리적 안녕,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 환경의 영향, 대학생의 정신 건강,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 요인과의 관계로 분류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방대한 양의 정보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기본심리욕구 연구 동향의 특징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앞으로 기본심리욕구 연구의 방향 설정과 연구 주제 선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Korea and identify major research topics and trends.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327 academic papers related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were more than candidates for KCI registration published on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data was preprocessed through an R program, and the results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were visualized in a word cloud, and analyzed by topic modeling.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tatus, 327 journals have been published in 106 societies, including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Association and the Korean Youth Association. Second, in keyword frequency analysis, terms such as basic psychology, desire, research, relationship, influence, mediation, analysis, autonomy,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competence appeared as top words. Third, topic modeling results were categorized by effects on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methods, relationship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nfluence of young people's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relationships with stressors in modern societ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research trends in Korea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t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research and selecting research topic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