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Child-Directed Physical Games Utilizing Physical Tools on Motor Skills, Cognitive Abilities, an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가혜(Ga-hye Min) 정진화(Jin-hwa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639~6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신체도구를 활용한 유아 주도적 운동게임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G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30명이며, 평균월령은 62.83개월(SD=3.86)이다. 실험집단에는 유아 주도적 운동게임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교사 계획의 운동게임 활동을 5주간 처치하였다. 운동능력(MPTYC), 인지능력(K-WIPPSI-IV),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로 자료를 수집하고 t-검증으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전체 인지능력과 인지능력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운동능력과 운동능력 하위영역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유아 주도적 운동게임 활동이 교사 계획의 운동게임 활동보다 유아의 인지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 맥락에서 유아의 신체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ild-directed exercise games on infants’ motor skills, cognitive abilities, and self-estee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eople,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average age was 62.83 months.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a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child-directed exercise games, and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were given teacher-planned exercise game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Children’s Motor Ability Scale’, ‘Children’s Cognitive Ability Testing Tool’, and ‘Children’s Self-Esteem Tes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child-directed physical games utilizing physical tools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self-esteem compared to teacher-planned physical game activities.
Conclusions Thes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foundational data in providing guidelines for supporti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within the context of child-centered educational curricul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