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irst semester of a university student in undeclared major, balancing between confusion and certain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해숙(Haesook Kim) 권정현(Junghyeon Kw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567~5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무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이 첫학기 동안 겪은 심리적 경험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4년 4월부터 6월까지 G대학의 무전공 입학생 9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중 8명은 남자, 1명은 여자였으며, 모두 19세에서 20세 신입생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대상별로 약 3회에 걸쳐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질적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주제1: 입학과 함께 찾아온 혼란과 확신의 줄다리기’, ‘주제2: 인간관계가 주는 즐거움과 혼란감’, ‘주제3: 자발적 행동의 증가와 그로 인한 새로운 고민들’이라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각 주요 주제별 세부 주제는 다음과 같다. 주제1의 경우 ‘무전공 입학은 혼란 속에서 확신을 찾아가는 과정’, ‘무전공 입학은 확신에 확신을 더하는 과정’, ‘혼란속에서 선명해지는 자신에 대한 이해’로 세분화되었으며, 주제2는 ‘함께 혼란을 견뎌내는 동기들로 인한 만족감’, ‘인간관계를 확장시키고 싶은 욕구와 실현 행동의 증가’, ‘갈 길을 찾아 떠날 친구들, 그로 인한 아쉬움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기대감’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제3은 소주제가 별도로 구분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무전공 입학생들이 입학 후 경험하는 독특한 경험을 탐색하고 이들의 경험과 진술을 기반으로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incoming freshmen who entered college without a declared major during their first semester, and based on these experiences, to propose an educational curriculum tailored to their needs.
Method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nine undeclared major freshmen at G University from April to June 2024. Among them, eight were male and one was female, all aged 19 to 20. The interviews, which were semi-structured and conducted approximately three times for each participant,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The study identified three main themes: 1) “The Tug-of-War Between Confusion and Assurance After Admission,” 2) “The Enjoyment and Confusion Arising from Human Relationships,” and 3) “Increased Voluntary Actions and the New Concerns They Bring.” Detailed subthemes for each main theme were as follows: For Theme 1, subthemes included “The Process of Finding Assurance Amidst Confusion After Entering Undeclared,” “Adding Assurance to Assurance as an Undeclared Major,” and “Understanding Oneself Becoming Clearer Amidst Confusion.” Theme 2 was divided into “Satisfaction from Enduring Confusion Together with Peers,” “Desire to Expand and Actions to Realize Human Relationships,” and “Friends Leaving to Find Their Paths, Resulting in Regret and Anticipation of New Relationships.” Theme 3 did not have distinct subtheme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loring the unique experiences of undeclared majoring freshmen after admission and in suggesting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their experiences and stat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