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Awareness in the Impact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on Political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남호(Nam ho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59~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제도적, 비제도적 정치참여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 이 정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정치의식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전지역 중, 고등학교 소속 청소년과 청소년수련시설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36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정치참여활동과 정치효능감, 정치의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 경험과 정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정치효능감과 정치의식간의 관계 또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과 정치효능감 사이에서 정치의식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제도적 정치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교육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정치참여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affects political efficacy at a time when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youth are becoming active, and to analyze whether political awareness acts as a mediating effect.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online and offline survey targeting 365 youth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Daejeon area and youth active in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used SPSS and Process Macro to assess poli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was analyzed.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political efficacy, an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awareness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Third, political awareness was confirmed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political efficacy.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a plan to revitalize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was proposed. First, youth 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must be expanded. Second, changes are needed in our country’s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the government's active interest and generous support for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i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