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s Product Purchasing Attitudes on the Need for ESG Education and Promo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SG Import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Hyeyoung Jo) 김현지(Hyun Ji Kim) Jinok Susanna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제품구매 태도가 ESG 교육 및 홍보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ESG 중요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54명이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연구변인의 경향성과 정규성, 신뢰도 계수를 알아보았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의 평균은 4.0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정규성은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ESG 교육 및 홍보 필요성은 제품구매 태도, ESG 중요성과 하위요인인 E(환경)중요성, S(사회)중요성, G(지배구조)중요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제품구매 태도는 ESG 중요성과 ESG 교육 필요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ESG 홍보 필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ESG 중요성은 ESG 교육 필요도와 ESG 홍보 필요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품구매 태도가 ESG 교육 필요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ESG 중요성이 부분 매개하는 반면, ESG 홍보 필요도에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ESG의 개념을 보다 어린 시기부터 놀이를 통해 인식을 제고시킬 필요가 제기되는 것이며, ESG의 실천방안을 가정중심과 유아교육 협력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s product purchasing attitudes on the need for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ducation and promo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SG importance in this relationship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54 parents with young children residing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The trends and normal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as well as their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examin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dditio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was investiga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research variables was above 4.0, indicating high levels. Additionally, the data met the assumption of normality.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eed for ESG education and promotion and product purchasing attitud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SG and its subfactors, which include environmental importance, social importance and governance importance. Third, the results revealed that attitudes towards product purchas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ESG and the need for ESG education. However, attitudes towards product purchasing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necessity of promoting ESG. Additionally, the importance of ESG was found to influence both the need for ESG education and the need for ESG promotion. Fourth, in the process where attitudes towards product purchasing influence the need for ESG education, the importance of ESG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However, in the case of the need for promoting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practices, the importance of ESG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early awareness of the concept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through play.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propose practical approaches to promoteESGpractices, distinguishing between initiatives focused on thehomeenvironment and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