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Basic Living Habit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of Infa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해진(Hea Jin 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8호, 1027~10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및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사회정서 함양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S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영아 14명을 실험집단과 14명을 통제집단에 임의로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2023년 7월3일부터 2023년 10월 27일까지의 1주에 2회씩 총 16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8권의 그림책을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를 하고, 통제집단은 동일한 그림책 놀이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사회정서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실제 보육환경에서 영아에게 효과적인 놀이로써 기본생활습관 형성 및 사회정서 발달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cultivate basic living habits and social emotions of infants in childcare site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home-linked play using picture books on the formation of basic living habits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Methods Family-linked play using picture books forms the basic living habits of infants and by examining th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Methods for cultivating the basic living habits and social emotions of infants in childcare sites have the purpose of seeking.
Results Fourteen infant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 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July 3, 2023, to October 27, 2023, over a total of 16 picture books, and eight picture books were used. The experimental group plays home-linked games using picture books, The control group played the same picture book game. Data processing uses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covariate.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erformed on the post-test scor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home-linked play using picture book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for education on the formation of basic lifestyles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s an effective play for infants in an actual childcare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