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emporal Changes in Course Evaluation of Good University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가영(Ga-young YUN) 박인우(Innwoo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8호, 375~39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이 갖는 ‘상황성’, ‘가치성’ 등을 속성을 고려하여 그 의미와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강의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이 바뀐 수업의 특징을 탐색⋅도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수강 당시에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더 이상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않는 수업과 과거에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못하였지만 현재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는 수업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후 내용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조사 설문도구를 마련하여 순위형 다중응답 분석,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수강한 수업 중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수업은 수업내용을 실제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성, 실용성이 높은 수업이었다. 둘째,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시간에 따라 바뀔 수 있었으며, 좋은 수업으로 기억하는 모든 수업이 좋은 강의평가를 받은 것은 아니었다. 셋째,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전환 경험을 보고한 학습자들이 생각하는 수업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수업내용의 실제적 도움 및 활용성’, ‘강의내용’ 등이었다. 넷째, 과거에는 좋은 수업으로 생각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않는 수업은 ‘수업내용 지속성’, ‘실제적 도움 및 활용성’, ‘배움에 대한 깨달음’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거에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지 못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업은 ‘배움에 대한 깨달음’, ‘수업내용의 실제성’이 높았고, ‘적절한 과제의 양’,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진행’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수강 당시의 학습자가 학습의 의미를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학생 평정에 의한 강의평가는 타당도와 신뢰도 측면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s and the changing perceptions of them over time as “good instruction.”
Methods For this study,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to develop questions regarding the survey tools used in the analysis. The survey included 141 respondents who had taken classes at a university and participated in course evalu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first attempted through an open survey. Accordingly, the survey tool for this study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nd ranking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s that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 may change over time. Second, the important attributes listed by students whose perceptions have changed included “practical help” and “course content.” Specifically, courses that were initially perceived as containing good instruction but are no longer perceived as such were “less practical” and “less enlightening.” However, courses that were not initially perceived as containing good instruction were later found to be “enlightening” and “practical,” though they had “an inappropriate number of assignment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re are still limitations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ocess when they are enrolled in courses. It also emphasizes the ongoing debate surround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udents' course evaluations. We propose that efforts are needed to help students experience truly good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