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5세 유아의 문제해결중심 협동동작활동과 교사주도 협동동작활동의 효과비교: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창의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용수 51
- 영문명
- Effect of Problem Solving-based Collaborative Movement Activities on Self-esteem, Peer interaction, Creative leadership of 5-year-old children: Comparative Study Problem Solving-based and Teacher-based Assess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소정(So-jeong Yun) 정가윤(Kayoun Ch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8호, 261~2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제해결중심 협동동작활동이 교사주도 협동동작활동과 비교하였을 때 만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위치한 I 어린이집 만 5세 20명(실험집단)과 M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총 12회의 실험처치를 진행하였다. 실험 전⋅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창의적 리더십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과 독립집단에 대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중심 협동동작활동은 교사주도 협동동작활동에 비해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창의적 리더십에서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요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보육현장에서 유아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 도전하고 실험할 수 있는 문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ProbleM Solving-based Collaborative MoveMent Activities and Teacher-based AssessMent Collaborative MoveMent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based Collaborative MoveMent Activities on self-esteeM, peer interaction, creative leadership of 5-year-old children.
Methods A total of 12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on 20 children aged 5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aged 5 (control group) at Daycare Center I in Seoul, Korea. Self-esteeM, peer interaction, and creative leadership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ProbleM Solving-based Collaborative MoveMent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Mean scores in children's self-esteeM, peer interaction, and creative leadership coMpared to teacher-led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need to provide probleM-solving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to solve their own probleMs, challenge theMselves to find answers to probleMs, and experi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