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eaching Career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명(Jin-myoung Lee) 송현순(Hyun-soon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3호, 185~2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이를 위하여 진로 수업에 대한 관심이 크고, 진로 수업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세 명의 연구 참여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관찰, 사전 면담, 수업 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위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실천적 지식의 원천과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실천적 지식 분석틀을 개발하여 표현했다. 최종 분석틀에서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이미지, 원리, 규칙을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원리는 목적 관련 실천적 원리, 내용 관련 실천적 원리, 방법 관련 실천적 원리로 세분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지식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사의 진로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원천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것은 교사의 이전의 삶이 수업의 전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서 진로 수업에 대한 이미지, 원리를 분석했을 때 교사가 진로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실천적 지식 구조와 실천적 지식의 규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세 교사에게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차이는 원리와 규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교사마다 다른 원리와 규칙의 양상으로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구조 중 실천적 규칙에 차이가 있다. 교사들이 구현하는 진로수업을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실천적 지식의 규칙은 각 수업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각 교사별 실천적 지식에 따라 수업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eing out what appeared to have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ee teachers who have interest in teaching career, and practice teaching career steadily. Classroom observation, pre-interview, an interview after class were conducte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ntinuously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expressed by developing practical knowledge framework. It contained the source of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nal structure of the framework is shown in the image, principle, and rules. Practical principle is shown broken down into objectives related to, contents related to, methods related to practical principles.
Summariz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eaching career was like this. First, sources of practical knowledge were different. Second, images of teaching career affected rules and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practical rule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las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