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ttitudes of Pupils Towards Invention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형규(Hyung-gyu Lim) 이춘식(Chon-si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267~2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를 구명하고, 초등학생들의 성별, 지역, 학년 간의 발명에 대한 태도에는 어떤 관계를 가졌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도시 지역과 중소도시 지역 6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525명을 대상으로 발명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발명태도에 관한측정도구는 기존의 발명 및 기술에 대한 설문지를 기초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맞도록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제작되었다.
발명에 대한 태도 척도에 대한 예비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과 교과 교육 전문가,발명반 지도교사, 일반교사로 구성하여 위원들의 자문을 받아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평가진으로부터 척도에 대한 안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검토 결과를 통해 문항 내용을 일부 수정하였다. 이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기술분석, t 검증, F검증 등을 실시하고 통계 검증에 필요한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은 어렸을 때부터경험하는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이는 우리나라 특허 출원 건수 남자 94,348건 82%, 여자20,757건 18%(특허청, 2010)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어른이 되어서 발명 관련 종사나 직업 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어렸을 때부터 발명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발명교육이 발명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직접 발명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이 낮아지고 있어서 발명교육은 저학년부터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노작 경험을 통해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실과시간에 발명교육의 시간 확대가 저학년부터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rvey questionnaire to identify the attitude to inven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ex, region and grade with the attitu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25 grade 4 to 6 students in 6elementary schools in metro cities and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measure the attitude to inven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o customize conventional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invention an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dvices of the committee composed of a Practical Science Study educational expert, an Invention Club guidance teacher and a general teacher. The validity of the scales was verified by the committee and questions were modified accordingly.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statistics program via reliability verification, factor analysis,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F verification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p<.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ttitude to invention was affected by the experiences in the childhood. As shown in the statistics that 94,348 cases (82%) of patent application were made by men and 20,757 cases (18%) were made by women (Patent Office, 2010), the attitude to invention affected the engagement in invention and related job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invention education to children.
Second, the invention education that students actually experience affects their invention attitude more.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n the first hand for elementary students who are in 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Third, as the attitude level is getting lower in higher grades, it is necessary to start invention education from lower grades. It is also needed to expand inven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lasses so that they can nurture creativeness through various work‐oriented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연구의 방법 및 절차
III. 연구결과 및 해석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