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 Structure Analysis of Creativity fo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범(Jong-bum Lee) 정진철(Jin-chul Jeong) 이윤조(Yoon-j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181~1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문헌 분석을 기초로 발명영재의 창의성을 설명하는 하위요인을 14개 설정하였고 이를 기초로 발명영재의 창의성을 진단하는 67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원에 소속된 3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차원별로 Varimax 회전에 의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고설정된 요인구조를 타당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의 창의성은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향으로 구분된 심리적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발명영재의 창의성 구인화 모형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발명영재의 창의성이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향의 두 차원으로 이루어지고 창의적 사고에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 호기심이 창의적 성향에는 과제집착, 민감성, 성취지향, 동기 등 총 10개 하위요인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 structure of creativity fo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In an effort to meet the purpose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stablish initial factors, and it turned out 14 factors. The total numbers of questionnaire items were sixtyseven. 392 future creative entrepreneur students in POSTECH and KAIST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o analyze factor structure of the creativity for gifted invention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of validation creativity fo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as the 10 factors model was determined to be a reasonable solution to the response data.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eativity for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wa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and ten factors. The correlations among all factors were significant(p < 0.01).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