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n transnational mothers’ bilingu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 Language ideologies and practices at home
이용수 2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학윤(Hakyoon Lee) 방명은(Myoungeun P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1호, 309~34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국문 초록
현대 사회의 유동성 증가로 인해 사람들의 삶의 반경은 국경을 넘어 더욱더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참가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한국인 해외 거주 가정의 언어 이데올로기와 가정내에서의 언어 정책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해외 거주 경험과, 이민역사, 그리고 언어학습의 배경을 가진 다섯명의 한국인 해외 거주 여성들의 내러티브를분석했다. 이 연구는 다섯 여성들의 경험과 배경이 어머니로서 자녀들의 언어 학습과 이중언어에 대한 생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고, 그들의 미래에 대한 계획이 어떻게 현재의 가정내에서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가자들이 가정내에서의 언어 정책을 사용하고 발전시키는데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해외 거주 가정내 언어 정책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 분석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해외 거주 가정의 이중 언어교육 및 언어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초록
Due to increased global connections and mobility, the life trajectories of transnational families become more diverse.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transnational families’ language ideologies and family language policies (FLP) by analyzing their life narratives. Narrativ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five Korean mothers with different transnational experiences, immigrant histories, and language learning backgrounds. We focus on how the mothers manage their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and ideas on bilingualism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backgrounds. We also investigate how the future orientation for each family determines the families’ current language practices. The discussion on the challenges the mothers faced i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different FLP follows after.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Findings
5.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