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Using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방성원(Seong-won B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1권 제1호, 57~9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격대학원에서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프로젝트 중심의 수업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의 성과 및 어려움,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의 수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설계 사례를 제시하고, 프로젝트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총 28명의 참여자가 2회의 프로젝트 종료 후에 각각 작성한 성찰 일지이다.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한 5개의 주제는 ‘한국어 교사로서 향상된 역량’, ‘팀 역학 및 협업의 의미’, ‘개인적 성찰 및 성장’, ‘프로젝트 수행의 어려움 요인’,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의견’이다. 참여자들은 인지적, 행동적, 정의적 측면에서 다양한 역량의 향상을 경험하였으며, 팀 기반의 활동을 수행하면서 팀 활동 기술 및 협업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교사이자 연구자로서 자신을 성찰하고 성장의 의지를 다지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 성과는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이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 유용한 교수학습 모형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프로젝트 수행의 어려움 요인’은 시간 조절의 어려움, 팀 활동의 어려움, 과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의견’과 함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의 보완점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교육을 통해 한국어 교사의 실천적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chievements, challenges, and avenues for improvement in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It focuses on a class centered on a Korean textbook analysis and development project implemented at a distance learning graduate school. The study introduces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of a semester-long course and analyzes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The data analyzed wer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28 participants at the end of the two projects.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ed five themes: 1) improved competencies as Korean language teachers, 2) the meaning of team dynamics and collaboration, 3) personal reflection and growth, 4) difficulties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5) suggestions for improving future classes. Participants experienced improvements in their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competencies, and their teamwork and collaborative skills improved as they worked on team-based activities. They also reflected on themselves as teachers and researchers, strengthening their willingness to grow. These learning outcomes suggest that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can be a valu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The difficulties in project implementation include time management, team activities, and the task.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suggestions for improving future classes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improvements to be implemented in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instructors who want to strengthen Korea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onlin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