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lf-regul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차정주(Jung-Ju Cha) 문가영(Ga-Yeong Mu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3호, 357~3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자기조절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수집된 297부를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자기조절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자기조절력 중 교사효능감과 자기조절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효능감과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 중 메타인지조절, 인지조절, 정서조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자기조절력을 함양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lf-regul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o this end, a paper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and the best 297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professional recognition, self-regula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eacher efficacy and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