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Attention on Smartphone Dependence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강민구(Min-Gu Kang) 김성철(Sung-Chul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3호, 285~2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및 주의집중이 스마트폰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업열의, 주의집중 그리고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유도방안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5차년 조사자료 중, 학업무기력, 주의집중, 스마트폰 의존의 항목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2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2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무기력은 스마트폰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의집중은 스마트폰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들의 학업무기력 감소와 주의집중 향상을 위해 폭넓은 정책과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academic apathy and attention deficit on smartphone depe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methods for inducing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attention deficit, and healthy smartphone use. This study utilized the items of academic apathy, attention deficit, and smartphone dependence from the 5th year survey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study subjects were 2,243 high school senio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First, academic a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Second, attention defic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uggest the need for providing a wide range of policies and programs to reduce adolescents’ academic apathy and improve attention deficit, which affect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