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Verification of Predictor Variables and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형하(Hyoung-Ha Lee) 백희숙(Hee-Suk Back) 명가은(Ga-Eun Myeong) 이지원(Ji-Won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3호, 113~1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삶 패널조사(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4차(2021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년 장애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을 분류하고 예측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후 다차원적 빈곤유형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장애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유형인 저 빈곤집단과 고 빈곤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대상자의 55.7%가 포함된 저 빈곤집단은 10개의 다차원적 빈곤지표 10개 중 3개의 지표에서 높은 빈곤을 경험한 반면, 연구대상자의 44.3%가 포함된 고 빈곤집단은 7개 지표에서 높은 빈곤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 장애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의 예측변인 중 ‘혼인 중’인 경우, ‘중복장애’가 있는 경우, ‘대도시 거주’인 경우가 고 빈곤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년 장애인의 다차원적 빈곤 유형 중 저 빈곤집단과 비교해 고빈곤집단 일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data from the 4th (2021)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analyze the influence of predictive variables, and verify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n depre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low-poverty group and high-poverty group. The low-poverty group, which included 55.7% of the study subjects, experienced high poverty in three out of ten multidimensional poverty indices, while the high-poverty group, which included 44.3% of the study subjects, experienced high poverty in seven indices. Second, among the predictive variable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being ‘married’, having ‘multiple disabilities’, and ‘living in a large city’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poverty group. Third, among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ype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high poverty group compared to the low poverty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