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Z Generation's Participation Motives in Rural Experience Tourism Programs through Goal Framing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화진(Hwa-j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75~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골프레이밍 이론(Goal Framing Theory)을 토대로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인 ‘청촌맛여행’에 참여한 MZ세대의 동기와 경험을 분석하여, 농촌체험관광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박 3일간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MZ세대의 농촌체험관광 참여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골프레이밍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촌맛여행’ 참여자들의 동기는 쾌락적, 이득적, 규범적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주된 참여 동기에 차이를 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 관광을 넘어 교육적 가치를 지닌 종합적 체험 활동으로 구성되어, 참가자들의 환경 관련 식생활 행동에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촌맛여행’과 같은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농촌을 치유와 힐링의 공간으로 재해석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교육적 가치와 환경 보존 의식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프레이밍 이론을 통해 도출된 농촌체험관광 참여 동기에 대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다양한 지역에서 유사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추진할 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ations and experiences of the MZ generation participating in the rural tourism program 'Cheongchon Taste Travel,' drawing upon goal framing theory. The objective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inherent in rural tourism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employing various data collection method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Z generation's rural tourism participation patterns and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alysis revealed that 'Cheongchon Taste Travel' participants’ motivations stemmed from a complex interplay of hedonic, gain, and normative frames, with notable differences in primary motivations across age groups. The program, designed as a comprehensive experiential activity with inherent educational value beyond mere tourism, fostered positive shifts in participants' environmental dietary behavi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ural tourism programs like 'Cheongchon Taste Travel' offer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reimagine rural areas as spaces for healing and rejuvenation while promoting educational value and environmental awareness. The insights into rural tourism participation motivations gleaned through Goal Framing Theory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imilar programs in various region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