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Needs of the Preliminary Teacher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원(Dong-Won Lee) 김경태(Kyung-T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2호, 109~1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교육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교육해야 할 만한 내용들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B교육대학교 2학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교육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가정 영역에서는 ‘아동기 성의 발달’, ‘아동기 발달의 특징’, ‘생활 안전사고의 예방’, ‘나와 가족의 관계’, ‘안전한 식품 선택과 조리’에 관한 교육적 요구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 영역에서는 ‘자기 이해와 직업 탐색’, ‘개인 정보와 지식 재산 보호’, ‘일과 직업의 세계’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육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내용요소에 따른 교육요구도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영역에서는 학생의 발달과 가족 간의 관계, 안전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정 영역 개별 내용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술 영역에서는 진로관련 내용과 지식재산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술 영역은 가정 영역보다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가 낮다. 따라서 기술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 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priority education contents through preliminary teachers’ educational need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this, we surveyed to target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 grade prelimin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ducational needs in contents component, in home education area, we could confirmed high educational needs at ‘Childhood sexual developm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Prevention of life accidents’, ‘Relationships in me and family’ and ‘Safe food choices and cooking’. In the technology education area, we could confirmed high educational needs at ‘Self understanding and job search’, ‘Privacy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The world of work and career’.
Second, the result of educational needs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with the result of educational needs in contents component.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home education area, it is necessary to the training mainly information on the ‘Student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Safety’. Also it needs to be train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ch contents in home education.
Second, at technology education area, it is necessary to the training mainly information on the ‘Care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intellectual property’. In particular technology area, the preliminary teachers importance was low more than home education area. Therefore, it needs to be trained enough the need and importance in technology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