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Invention Unit of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Framework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윤진(Yun-jin Lim) 최유현(Yu-hyun Choi) 홍영지(Young-ji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2호, 77~9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 ‘발명’단원에서 학습자의 이해(Understanding by design)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학습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단원의 지도 방안 및 백워드 설계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Wiggins와 McTighe(2005)이 제시한 ‘Understand by Design Framework’에 따라 단원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5인의 내용검토를 통하여 최종 단원 설계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발명’단원의 설계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단원의 학습을 통해 바라는 결과는 ‘실생활에 유용한 발명품 만들 수 있다’로 설정하였다.
둘째, ‘발명’단원 학습의 수용 가능한 증거에는 ‘문제분석결과, 아이디어 탐색 목록, 최종 선정 방안, 시제품 설계도, 시제품’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발명’단원의 실제적인 학습 경험의 연결을 위하여 WHERETO(목표, 흥미, 지식, 반성, 평가, 개별화, 조직)요소를 고려하여 11차시의 순차적인 단원학습을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the Invention Unit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based on Understand by design Framework.
For this study,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bout ‘Invention Education’ and ‘Backward Design Model’ and designed the ‘Invention Unit’. After that, we received contents reviews from the 5 experts and revised the Invention Unit Desig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hoped that the results of learning through the 'invention' unit were set to “can make useful inventions in the real world.” Second, we set up that the ‘acceptable evidence of Invention learning’ were ‘results problem analysis, ideas, browse list, the final selection of measures, prototype design, prototype’.
Third, we configured the sequential section 11 of the periods for the actual connec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considering the WHERETO(W:goals, H:interests, E:knowledge, R:reflection, E:evaluation, T:individualized, O:organization) el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quired to ensure its effectiveness and practical application section designs in the future and to apply for enlarging the design other backward section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