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막 제공 서비스 앱의 UI/UX 개선 연구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자동 생성 앱 ‘이어줌’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제안
이용수 65
- 영문명
- Research on UI/UX improvement of subtitle service app : Proposal to improve usability of ‘Eeojum’, an automatic subtitle generation app for the hearing impaired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영찬(Young Chan Kim) 김문석(Moon Se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3(통권 32권), 486~49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자막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이어줌>의 UI/UX를 기능성과 사용성 측면에서 분석해 사용자의 동영상 콘텐츠 접근성과 사용성, 심미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자막 자동 생성 앱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행하고 청각장애인 모바일 이용 환경 및 실태를 분석한 후 국내외 앱 접근성 정책, 공공기관 UI설계 가이드라인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줌>의 UI/UX적 특징을 살펴 앱 접근성 품질 및 사용성 제고를 위한 UI/UX 개선 항목을 도출하고 음성 변환 앱 UI/UX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했다. 가장 큰 목표는 사용성 향상을 위해 IA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조형성을 강화하여 주 사용자인 청각장애인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둔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mprove users' video content accessibility, usability, and aesthetic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UI/UX of , an app that provides an automatic subtitle creation ser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usability. To this end, we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on automatic subtitle generation apps, analyzed the environment and actual conditions of mobile use by hearing impaired people,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pp accessibility policies and public institution UI design guidelines. Based on this, we looked at the UI/UX characteristics of , derived UI/UX improvement items to improve app accessibility quality and usability, and proposed improvements to the voice conversion app UI/UX design draft. The biggest goal wa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IA and strengthen the visual formability of the display to improve usability, presenting design guidelines aimed at improving usability for the hearing impaired, the main users.
목차
1. 서론
2. 음성 변환 앱의 환경 분석
3. 개선 제안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