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Grammatical Terms Intelligibility for Chinese Learn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朱偉(Wei Zh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791~80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15

국문 초록
목적 연구의 목적은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한국어 문법용어의 효율적인 쓰임을 향상시키려는 데 있다.
방법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법용어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객관적 이해도를 조사⋅측정하고, 실제 언어생활 속에서 문법용어 사용 실태를 파악했다. 또한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학습 단계에 따른 문법용어 이해도의 차이를 교차⋅분석하였다.
결과 SPSS를 이용한 문법용어 이해도 측정 결과는 학부 단계별 유의수준 0.05 기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타동사, 자동사, 의존명사, 관형사형 어미, 부사형 어미, 파생적 사동문, 파생적 피동문’등 구체적 문법항목에 대한 이해도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학습 단계별 문법용어의 이해도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이 성립되지 못한 것으로 논증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o a quantitative survey of the Intelligibility of Korean Grammatical Terms for Chinese Learner.
Methods In this stud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China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Korean grammatical terms among Chinese learners.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is used to find out the statistical skills of Chinese learners' comprehension of grammatical terms and the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by learning stag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o far,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mprehension of grammatical terms by learning stage is rejected, i.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grammatical term items, but the t-test on the mean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mprehension of grammatical terms using SP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for each undergraduate level.
목차
Ⅰ. 서론
Ⅱ. 문법용어 이해도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