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혜진(Hye Jin Ha) 손원경(Won Kyoung S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763~77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유아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 경북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반 담임교사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 유아의 놀이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은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을 부분 매개로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사가 긍정적인 놀이신념을 가지고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향후 유아의 놀이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량 프로그램 개발에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이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lay belief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preschools in the Busan, Gyeongnam, and Gyeongbuk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Baron and Kenny's (1986) method.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their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dditionally, the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indirectly influenc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their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positive play beliefs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Furthermore, the findings imply that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aimed at promoting young children's playfulness should incorporate both play beliefs and the ability to utilize classroom environment regulating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