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errors appearing in writing in descriptive type assessment after online video classes: For first-year engineering students in precalculus cour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인경(InKyung Kim) 황인아(InAh Hw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301~3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동영상 수업 후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에 대하여 질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년 1학기에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하는 지방소재 공과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중간-기말고사에 있는 서술형 총 5문항에서 나타나는 오류에 대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5문항은 그래프 그리기(3문항)와 서술형 쓰기(2문항)로 구분하였고 분석한 결과 나타난 오류 유형은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그래프 그리기 문항에서는 개념오류, 점근선 표기 오류, 좌표 표기 오류, 글설명 오류, 정의역에 대한 오류, 볼록성 언급 생략, 변곡점 언급 생략, 그래프 개형 판정에 대한 대수식을 생략하는 오류가 나타났다. 둘째, 서술형 쓰기 문항에서는 문제 인식 오류, 문제의 조건을 잘못 사용한 오류, 치환 오류, 유리화 오류, 기술적 오류, 풀이 과정 생략, 논리적으로 부적절한 추론,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오류가 나타났다.
결론 또 각 문항별로 나타난 오류 유형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 역시 고등학생들이 그래프와 문제해결에서 나타내는 오류들과 유사한 오류뿐만 아니라 새로운 오류도 나타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errors that appear in the descriptive type assessment after online video classes.
Methods For this purpose, we qualitatively analyzed the errors appearing in 5 descriptive type questions in the mid-term and final exams for first-year engineering students at a local college. They are taking basic precalculu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e 5 questions were divided into drawing a graph(3 questions) and descriptive type writing(2 questions), and the types of errors that emerged as a result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in the drawing a graph questions, there were errors in conceptual errors, errors regarding the domain, asymptote notation errors, coordinate notation errors, writing explanation errors, omitting convexity mentions, omitting inflection points mentions, and errors of omitting algebraic expressions for determining graph shape). Second, in the descriptive type writing questions, errors in problem recognition, incorrect use of problem conditions, substitution errors, rationalization errors, technical errors, omission of the solution process, logically inappropriate reasoning, and errors due to mistakes or carelessness appeared.
Conclusion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detailed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error shown in each question, it was emerged that college students also had errors similar to those made by high school students in drawing graphs and solving descriptive type probl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