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교육가들의 교육내용을 반영한 음악 교수내용지식에 따른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Orff, Dalcroze, Kodály를 중심으로
이용수 59
- 영문명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xtbooks based on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flect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Music Educators: Focusing on Orff, Dalcroze, Kodál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윤나(Yun-na S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209~2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양성과정에서 활용되는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를 음악교육가들의 교육내용을 반영한 음악 교수내용지식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에 적합한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 7권을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음악 교수내용지식의 구성요소인 교과내용 지식, 교수학습 방법 지식, 교육과정 지식, 학습자 지식으로 구성된 본 연구의 분석준거에 따라 연구대상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교재의 교과내용 지식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관한 내용이 가장 적게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교재의 교수학습 방법 지식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 수록된 유아 음악활동 계획안에는 음악감상 활동, 점진적 심화 원리에 따른 음악 활동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내청연계 노래 부르기, 화음연계 활동, 음이름 또는 계이름으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적게 제시되고 있었다. 셋째, 교재의 교육과정 지식을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 연계 음악교육 내용이 표준보육과정 연계 음악교육 내용보다 평균적으로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교재의 학습자 지식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 수록된 유아 음악활동 계획안의 대상 연령은 유아 또는 영유아 통합적으로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를 음악교육가들의 교육내용을 반영한 음악 교수내용지식에 따라 분석하여 추후 개정될 유아 음악교육 대학교재의 개선 및 보완사항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university textbook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utilized with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reflects the educational content of music educators.
Methods For this study, seve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university textbooks suitable for research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Next, thes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mains: subject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urriculum, and learner knowledge. The results were presented.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subject content knowledge revealed that there is a noticeable deficiency in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 textbook. Second,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knowledge in the textbook showed that the included plans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predominantly focus on music appreciation and activities following the principle of gradual deepening. Activities such as singing with inner hearing, harmony-linked activities, and singing by note or scale are less frequently presented. Third, upon analyzing the curriculum knowledge within the textbooks, the music education content linked to the Nuri curriculum is presented more frequently on average than the content linked to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wledge of leaners in the textbook, the target age for the included plans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tended to center around young children or toddler-young children integration.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oposals for future enhancements and revisions of university textbook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